198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역임)
대한민국미술대전 및 다수 심사
경원대학교 회화과
산업디자인학과 출강
성남시 문화예술 발전기금 심의위원
198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역임)
대한민국미술대전 및 다수 심사
경원대학교 회화과
산업디자인학과 출강
성남시 문화예술 발전기금 심의위원
2023
[행복이 열리는 나무] 갤러리작, 서울
[息 * 숨] Gallery Artrie 본사, 경기 광주
[숲으로의 동행]제주경찰청갤러리, 제주
2022
[DREAMING]더스테이힐링파크아트스페이스,가평
[DREAMING]드림갤러리,제주드림타워3F,제주
2021
[DREAMING] 갤러리 연세 초대展, 서울
2019
[DREAMING TREE] 갤러리41 초대展, 서울
2018
[DREAMING TREE] 갤러리진산 초대展, 서울
2016
[With] 갤러리비선재 초대展, 서울
[생명 소통 사랑] Flushing Town Hall 초대展 Flushing, NY
[안말환展]Hutchins Gallery LIU Post College, Brookville, NY
2015
[Symbiosis]展, Elga Wimmer PCC, Chelsea, NY
2024
2024 GIAF, 신라호텔 서울
2023
서울아트쇼, COEX 서울 / 2011~2023
INHAF2023, 송도센트럴파크호텔, 인천
AAFHK, HKCEC, HongKong, Chaina/ 2013, 2019, 2022
ART FESTA SEOUL, SETEC, 서울/ 2022
BAMA, BEXCO, 부산 / 2016~19
WAE, COEX, 서울
ART FESTA JEJU,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
2022
IAAS인천아시아아트쇼, 송도컨밴시아,인천
FOCUS AF, Carrousel du Louvre, Paris
아트광주,김대중컨밴션센터,광주
Korea Art Show,수원컨밴션센터, 수원
2021
IAAS 인천 아시아 아트쇼, 송도 컨벤시아.인천
21ci contemporary istanbul 할릭 조선소, Istanbul,터어키
2020
Shanghi AF, Expo Convention center, Shanghi/ 2012, 2018
2019
화랑미술제 COEX, 서울/2008, 2011~19
BEXCO, 부산/ 2009~10
2018
SCOPE MIAMI, SCOPE MIAMI BEACH PAVILION, USA
Singapore Art Stage, Marina Bay Expo & Convention
KIAF, COEX, 서울/ 2008~15, 2017
~2017
AAF Battersea, London,UK(2017), BUSAN Art Show, BEXCO,부산(2014),
MONTREUXAF, Montreux Music & Convention Centre. Switzerland(2011)
MANIF19! 2013,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서울(2004~2006),
Art Hamptons, Sayre park, NY(2013),Art Karlsuhe, Messe
Karlsuhe,Germany(2011.2012), SH Contemporary 2011,Shanghi, Chaina(2011),
CIGE북경 아트페어, 국제 무역센터, Beijing Chaina(2009) . . .
2023
[Villa D'Art 2023]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한*루국제미술문화교류전]University of Timisoara Museum, 루마니아
2022
[송년ArtPick전]갤러리연세, 서울
[장학기금마련전]SNU빌딩베리타스홀,서울
[탄천현대회화제]성남아트센터808갤러리,성남
[이섭대천제]이천아트홀,이천
[제46회한울회정기전],가나인사아트센터2F,서울
[자연을 그리다] 더샵갤러리,서울
[We're Connected] 신세계강남점,갤러리Iam,서울
[서울미술나눔전]베리타스홀/SNU장학빌딩,서울
2021
[비움의 미학展]서호 미술관, 남양주
[SNU VILLAD' ART2021]예술의전당한가람미술관, 서울
[2인展]인사아트 센터 4F, 서울
2020
[이른 봄나들이-예술가의 작업실展] 여주미술관
탄천 현대회화제 [Sharing 展] 808갤러리, 성남 아트센터
2019
[Power of Existence 展] LonghuijingArt Space, Shanghai
2018
[ART YOUR MUSE展] Kong Art Space, HongKong
2017
[첸나이쳄버비엔날레], 국립라릿카라 아카데미 전시관, 인도
2016
[국제 여성 미술제],광주시립민속박물관특별실
2015
[평창 비엔날레 특별展] 포스트 박수근, 박수근 미술관, 양구
국립현대미술관(아트뱅크)
성남아트센터미술관
남송미술관
동제미술관
성남시청
경향신문사
국민은행
아산병원
(주)EFC
(주)한국화이자제약
(주)와이즈넛
동서문화재단
유나이티드문화재단
로얄팰리스
야베스벨리
곡성군청
블루닷
세종호텔
힐튼호텔
엠버서더호텔
(주)동성홀딩스
(주)대영식품
(주)슈거브로스
(주)미래태양광
(주)이 베이스
제주와인피부과
제주포에버피부과
제주브와두스카페
국내외 개인소장 다수
안말환 작가는 “나무”의 시선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삶의 이상향을 꿈꾼다. 나무는 작가 자신이며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개개인의 모습이기도 하다.
작가는 자연물인 돌가루와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복잡한 나무를 절제된 색채와 나이프 등으로 긁어 만든 선들로 표현한다. 주변 풍경은 지워진 채 나무를 화폭으로 불러들여 바람과 태양과 얽힌 사연을 또한 작가에게 있어 살아온 생애의 기억과 그 세월의 자취들, 그리고 인간에게 하나의 덕목으로 다가오는 나무의 본성들을 떠올리면서, 나무들의 대화를 형상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우리는 다양한 희,로,애,락을 느끼지만 때로는 평범하게 생각되는 순간들도 존재한다. 작가는 이러한 순간들을 진솔하게 공감하며, 시각적 언어로 치환해서 작품에 녹여낸다.
초기의 추상작업에서 점점 나무의 다양한 형태, 반짝이는 미루나무와 생명력이 넘치는 바오밥나무, 소나무, 나무와 새, 그리고 지금은 안말환의 나무를 그리고 있다. 소나무는 한국의 상징이며, 한국인이 사랑하는 나무이기에 많은 작가들도 담아내는 소재이다. 하지만 작가의 소나무는 하나의 대상을 넘어서 작가 스스로 소나무를 “몸”으로 체험해 바라보는 이미지만 담겨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느끼는 사람의 온기, 숨결 하나하나를 느끼게 한다.
특히 나무에서 보이는 독특한 마티에르와, 간결성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간결성의 원리는 모든 시각에 대상물을 가능한 단순하게 이해하고, 단순한 형태로 보려고 하는 현상이며 근본적인 미적 원리이다. 전체적으로 단색화에 포함되는 것 같지만, 작품 곳곳에서 다양한 색들의 흔적이 엿보인다. 이러한 이유는 작가 고유의 작품 어법이 작품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작품을 바라보고 있으면, 작가의 의식과 시간을 잠시 동안 그림이라는 공간 안으로 이동시켜 준다. “나의 나무들은 혼돈 속에서 불안하고 지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아무런 의심 없이 그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쉴 수 있는 신선한 숲,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크고 깨끗한 당신의 호흡”이 되고자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