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출생
홍익대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홍익대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석사 졸업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박사과정 중퇴
현재 한국미술협회회원, 한국조형학회 회원
신사임당미술대전 심사위원장, 평화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
인사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 등 심사위원 다수
1962년 출생
홍익대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홍익대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석사 졸업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박사과정 중퇴
현재 한국미술협회회원, 한국조형학회 회원
신사임당미술대전 심사위원장, 평화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
인사아트페스티벌 운영위원 등 심사위원 다수
2019
Freedom 2019. 어제와 다른 내일전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힐리언스 선마을 효청갤러리 초대전
공인전. 갤러리 마루 초대전
2018
갤러리 아트와 초대전
갤러리쿱 금사홍, 민해정수 부부 초대 기획전
원전 갤러리 일호
2017
바움아트갤러리 베이징 개관기념전 (서울, 중국)
디지털 외출 혜화아트센터 기획 초대전
혜화아트센터 개인전, 회화의 전일적 표현 (1987~2017)
SNS 아트페어. 금보성 아트센터. 아리수갤러리
2016
재복미술관 초대 개인전
혜화아트센터 개인전
ART BUSAN 2016 백스코
3色3人전, 혜화아트센터
2015
홍콩 아시아 컨템포러리 아트쇼 (홍콩)
꽃피는 봄이 오면. 갤러리 두
봉포 플라트,폼 개관초대전
2014
아리랑-현재를 바라보는 다섯개의 시선.
강릉시립미술관 개인전
Artshow Busan. 벡스코
강원아트페어 특별전. space for diffusion
2013
비구상 회화4인 초대전,
가을로의 동행전, 울산현대예술관
북경국제예술박람회 아트추이찬 한국관 (중국)
2011
희수 갤러리 초대 개인전
바움아트 갤러리 기획 초대전
2009
제9회 KCAF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국민일보 갤러리 기획 초대전
2008
제8회 KCAF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갤러리 베아르때 기획 초대 개인전
바움아트 갤러리 기획초대전
2006
개인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005
Gallery 창 개인전
2004
종로갤러리 개인전
2003
2003 남양주아트센터
그 외 개인전 및 초대전 다수
기획재정부 세종시청사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중앙지검 고등검찰청 서초 신사옥
한국소비자원 충주 신사옥
강원대학교 노인병원 신사옥
상업은행
위덕대학교
예로부터 동양 문화권에는 자아의 개별적 주관성보다 세계와 어우러지는 전일성(全一性) 내지 합일성(合一性)이 중시되었다. 그 사유 형태의 근원을 불교사상과 노장사상 및 유가사상에서 볼 수 있는데 신비적 직관에 따른 통합적 세계를 지향하는 경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작가 금사홍의 작품 속 화두는 이러한 동양 사상에 입각한 ‘전일적 (全一的) 회화’라고 할 수 있다. ‘전일적’이란 전체성을 띠고, 개체가 곧 전체가 되는 과정이며, 전체에 대한 인식 속 유기체적 자연관에 입각한 개체들의 합을 가리킨다. 전체성을 띠고, 개인의 고유 경험을 통해 발현되는 어떤 가치와도 같음이다.
금 작가는 “겸재 정선(1676-1759,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은 천지인(天地人), 즉 땅과 자연, 그리고 그에 깃들인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성찰했습니다. 진경산수는 우주와 인간, 산수자연과 인간이 공존한다는 선인들의 우주관과 자연관을 토대로 형성되었는데 자연과의 합일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으므로 전일적(全一的) 표현 회화로는 적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시공을 횡단한 채 형식과 기법, 장르를 불문하여 자연을 작품 속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자연을 재현하려 하지 않는다. 자연을 그리든 사물을 그리든, 그에게 있어 그림은 내적으로 재해석되는 방식에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과 세계(자연)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실제적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를 깊이 분석하면서 자신만의 독창적 표현 세계를 현대적 감각으로 확립해 나가고 있다.
동양적인 자연관과 특유의 감성적 요소가 깃든 그의 작품은 구상과 추상, 대담함과 섬세함, 해체와 구축이 공존하며 화폭에서 생명의 사유, 인연, 순환 등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