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위원
아시아미술대전, 전북미술대전,
제주미술대전 앙데팡당KOREA
2022-24 일산킨텍스 공모전 심사위원장
운영위원 및 기획경력
서울국제환경미술제 집행위원장(예술의전당),
국제현대미술제 등 15회
심사위원
아시아미술대전, 전북미술대전,
제주미술대전 앙데팡당KOREA
2022-24 일산킨텍스 공모전 심사위원장
운영위원 및 기획경력
서울국제환경미술제 집행위원장(예술의전당),
국제현대미술제 등 15회
개인전
94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외 22회
아트페어
75-24 핑크아트페어,
인터콘티넨탈호텔 코엑스점, 서울 외 12회
단체전
서울방법작가회의전, 국제환경미술제,
부산비엔나래 외 420여회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외
조형물 설치
제주연안여객터미널 작은미술관
- 국립현대미술관 주관 ('05-06) 외 관공서 및 개인소정 등 20여점 포토)전가조형연구소 대표
국립현대미술관 외
그의 작품에는 캔버스도, 견지도 필요하지 않다.
백자토로 빚어진 4절지 점토판은 마치 하얀 캔버스처럼 작가의 손끝에서 빚을 품은 화면으로 태어난다.
그 흙빛 백자가 곧 그의 화폭이 되는 것이다.
"소외와 야생화"
전경, 중경, 원경-세 겹의 시선을 담아낸 그의 공간은 공간성과 시간성이라는 본질을 담담히 펼쳐 보인다.
그림의 중간에 유약을 문질러 문화를, 희망을, 그리고 상처를 얹는다.
그는 전경과 원경을 분리시켜 중경이라는 틈을 만들고, 그 틈에 시간의 숨결과 공간의 의미를 심는다.
하나의 화면에 공존하는 그 모든 층위는 그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기획된 사유의 장이다.
우리는 스스로 살아갈 수 있다고 믿지만, 결국 누군가와의 따뜻한 나눔, 대화를 통해 진정한 인간다움에 다가갈 수 있음을 그는 말한다.
그의 작품 속에서 소외된 야생화조차 자신만의 가치를 품은 생명으로 거듭난다.
그는 그렇게, 존재의 존귀함과 삶의 의미를 흙과 불과 마음으로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