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rn is a Medium Rare template – Browse our full range of templates at the Medium Rare Shop
"해바라기와 태양빛을 모티브로, 마티에르가 질감과 선, 색채로 독자적인 서사를 구성해 관객에게 꿈과 희망의 ‘빛의 향연’을 선사하도록 한다."

계명대학교 미술학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전시이력

개인전

2021

5월 라보체갤러리/ 인천
4월 월드타워11층 BGN갤러리/서울
3월 아트필드갤러리 / 서울

2020

12월 임립미술관/ 공주
​7월 비움갤러리/서울
6월 아트리움갤러리/ 서울
3월 연우갤러리/청담

2019

7월 BGN갤러리 / 서울
5월 아트리움갤러리 / 인천
3월 아트필드갤러리 / 서울

2018

10월 정수화랑 / 서울
9월 BGN갤러리 / 부산

2017

9월 일호갤러리 / 서울

2016

3월 신선미술관/4월 법원특별전시실 / 목포

2015

5월 엠겔러리 / 서울

2013

9월 AP갤러리 / 서울
5월 정수화랑 / 서울

아트페어

2020

6월 조형아트서울 (코액스)

2019

12월 히즈아트페어 (중국 상해)
6월 아모이 아트페어 (중국하문)
5월 히즈아트페어 2019 (임페리얼펠리스 호텔)
4월 아트부산 2016 국제아트페어 (백스코)

2018

11월 with artfair 2018 (송도컨벤시아)
5월 아모이 아트페어 (중국하문)

2017

12월 서울아트쇼 (코액스)
11월 대구아트페어 (액스코)
11월 소파아트페어 (네이비 피어)
6월 조형아트서울 2017 (코액스)
5월 아모이 아트페어 (중국하문)

2016

12월 서울아트쇼 (코엑스)
12월 스푼아트쇼 (킨택스)
11월 4th심천아트페어 (중국)
8월 3th with artfair (인터컨티넨탈 호텔)
5월 아트부산 2016 국제아트페어 (백스코)
3월 아포더블 아트페어 밀라노 (슈퍼스튜디오,피우)

2015

12월 마이애미 리버 아트페어 (하야트 호텔)
11월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10월 서울 국제핸드메이드 아트페어 (코엑스)
8월 울산 아트페어 (KBS 아트홀)
5월 소아프 (코엑스)
4월 부산아트페어 (백스코)

2014

11월 뱅크아트페어 (싱가폴)
11월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5월 소아프 (코엑스) ​

단체전

2021

6월 5인5색 평화전시회 ( 평화나눔갤러리)
5월 별에서일어나다전 (서울갤러리)
5월 어떤 예술가들의 전시 (비움갤러리)
3월 36.5 (연우갤러리)

2020

10월 가을.작지만 특별한 작품전 (정수아트센터)
7월 예경전 (엠갤러리)

2019

12월 내일을보다 개관전 (정수아트센터)
11월 시네마아트전 (에코락갤러리)
11월 출판기념전 (경북 영주)
10월 예미전 ( 대구수성아트피아)
9월 아트락페스티벌(고양스타필드)
8월 연상전 (정수화랑)
7월 AAA정기전 ( 성남아트센터)
7월 휴먼아트페스티벌 (한국미술관)
5월 계절향유전 (평택호예술관)

2018

12월 소담한선물전(혜화아트센터)
10월 over the rainbow (순화동천)
9월 한성백제송파미술제 (예송미술관)
8월 뉴띵킹뉴아트2018 (바이올렛 갤러리)
7월 수작회 2회 그룹전 (서초문화예술회관)
5월 TAKE12 여성작가 그룹전 (인사아트센터)
3월 GRAA UNIT 전 (갤러리 GRAA)
2월 ARTKOREA 2018 in London (Le Dame ART Gallery)

2017

11월 남도의 향기 ( 영산미술관/장전미술관/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10월 국립중앙의료원 기획초대전 (스칸디아갤러리)
9월 무지개 그룹전 (리홀아트갤러리)
8월 “경계를 넘어서” (신선미술관, 목포)
5월 서울 모든 아트쇼 (한가람 미술관)
5월 “Take 7” 여성작가 그룹전 (규영갤러리)
5월 “동아시아의 시선” 소품전 (ANC갤러리)

2016

12월 아트플랫폼 큐레이터 VR (신사동)
11월 작가공모전 (금보성 아트센터)
8월 대한민국주목 25인 초대전 (서정아트센터)
8월 AAA정기전 (갤러리 팔레드서울)
8월 꿈을표상하다 (성옥재단전시장)
7월 재현과순수의 사이 (현대호텔겔러리)
5월 TAKE 7 : 여류작가그룹전 (구하겔러리)
3월 아름다운만남 : 계명대 서울동문전 (정수화랑)
1월 그림이있는 작은 음악회 (신선미술관)

2015

11월 명동 국제 아트페스티벌 (명동 유네스코홀)
10월 AAA정기전 ( 성남아트센터)
8월 예술과지평 단체전 (신선미술관)
8월 체리쉬가구 신진작가5인전 (올림푸스겔러리)
5월 젊은 예술인의 양지 (정수화랑)
2월 현묵회전시관 개관기념전 (현묵회전시관)

2014

7월 알타에고르 그룹전 (부천문예전신관)
6월 예술과지평 단체전 ( 신선미술관)
3월 엘르겔러리 단체전( 미술시장과 미술가들)

2013

8월 개인부스전(서울미술관)
4월 국제 작은 작품 미술제 (서울미술관)

2012-2013
10월 돌맘전 단체전 (서울미술관) ​

수상이력

2013

현대여성 미술대전 특선

2012-2013
제4회, 5회 대한민국 수채화 공모대전 특선, 입선
제30회, 31회 대한민국 신 미술대전 입선

2001

제30회 전국대학생디자인공모전​ 입선

작품소장처

삼성생명

제주관광대학교

신선미술관

밝은눈안과병원

정소아청소년과의원

천주교대구대교구청

나무디자인출판사

아트필드갤러리

임립미술관

법률사무소

(주)한국브라스트

정수아트센터

라보체갤러리

아트나인갤러리

"해바라기와 태양빛을 모티브로, 마티에르가 질감과 선, 색채로 독자적인 서사를 구성해 관객에게 꿈과 희망의 ‘빛의 향연’을 선사하도록 한다."

‘마티에르(작품 속 재료의 질감)’는 서사이다. 색채도 형태도 묘사도 그림에서 중요하지만 마티에르는 표현매개이기보다 그 자체로 서사로 읽히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묘사의 역할로서 대상의 질감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화면 전체를 이끌며 이야기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색상도 형태도, 작가의 의지로도 다 하지 못하는 것을 마티에르는 이야기하는 것이다. 박시유 작가의 작품세계를 보면 이러한 부분이 잘 드러난다.

박시유 작가는 해바라기와 태양 볕을 모티브로 '빛의 향연'을 화폭에 담아내는 작가이다. 오랜 시간동안 해바라기를 그려왔는데, 반복적으로 해바라기를 그려내다 보니 자연스럽게 태양의 이미지도 함께 연출되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해바라기의 모습과 태양의 모습이 그에게 흡사하게 느껴졌고, 태양의 이글거림은 우리가 갈망하는 소망과 꿈의 꿈틀거림과도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작가의 작품 속 드러난 마티에르는 일차적인 시각인상을 장악하며 이러한 작가가 의도한 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마티에르에서 느껴지는 질감과 선, 흐름은 섬세하고도 강렬한 감정을 이끌어내는 힘으로 작용하며, 작품의 완결성은 한층 더 배가 된다.

더불어 작가는 유화 작업을 통해 중첩 효과와 중후함을 주는데, 색을 겹겹이 칠하는데 있어 베이스 컬러와 마무리 컬러를 다른 색으로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들이 산화되며 독창적인 색감을 자아낸다. 시각적 감성을 통해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작가의 내적 필연성과 정신성의 표현이 잘 드러난다.작품에서 언 듯 보면 느껴지는 자유로운 추상 전개에 비해, 자세히 들여다보면 입체주의적, 조형적 색채의 리드미컬한 대비에 의한 화려한 추상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한 구성을 통해 우리에게 입체적 색채의 물결, 바로 ‘빛의 향연’으로 다가온다.박시유 작가는 “사람은 태양의 빛과 함께 하루가 시작 됩니다. 그 태양빛 안에서 꿈, 희망, 행복과도 같은 것들을 볼 수 있고, 매일 떠오르는 태양처럼, 사람들의 행복과 꿈도 매일 커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것들을 캔버스에 담았습니다. 관객분들이 제 작품을 감상해 주시면서 행복을 함께 느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전했다.